분류 전체보기345 [Error] Node.js와 Node-Sass 버전 호환 불가 에러 (npm ERR! Code 1) Jenkins로 Node 빌드 설정하는 중에 에러가 발생했다. npm ERR! code 1 npm ERR! path /var/jenkins_home/workspace/*****/node_modules/node-sass npm ERR! command failed 찾아보니 node-sass 버전이 node와 맞지 않아 나는 문제라고 한다. 처음 Jenkins Tool 설정을 해줬을때 NodeJS 설정을 LTS 가장 최신 버전으로 해줬던게 문제였다. 프로젝트의 package.json을 확인해보니 4.11.0 였다. 맞는 node로 변경해주니 빌드에 성공했다. 2022. 6. 3. [DevOps] CI / CD 파이프라인 (CI/CD 입문 / CI/CD툴 비교분석) CI Continous Integration : 지속적 통합 > 빌드, 테스트 자동화 > 개발에서 발생하는 불일치 최소화 > 품질 관리 CD Continuous Deployment : 지속적 배포 > 배포 자동화 CI / CD 사용 목적 : 개발하며 git에 계속해서 commit을 날리게 된다. 이렇게 commit이 쌓이고 쌓이다보면 빌드나 테스트에서 작업의 충돌이 생길 수 있다. CI를 도입한다면 미리 commit을 날림과 함께 빌드, 테스트가 되어 나중에 빌드, 테스트하며 생길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CI / CD 툴 비교 분석 1. Jenkins Jenkins User Documentation Jenkins User Documentation Jenkins is a self-contained, op.. 2022. 5. 27. [InfluxDB] InfluxDB 입문 (설치 / 사용법 /Tick Stack /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 Flux) 회사에서 기본 rdbms 성능 이슈로 InfluxDB를 도입하기로 했고 관련 업무를 내가 담당하게 되어 공부를 시작했다. 일단 InfluxDB는 시계열 데이터 베이스이다. 시계열 데이터 베이스 TSDB 시계열 데이터 베이스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수집되는 대량의 데이터(시계열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최적화된 DB 시계열 데이터의 예시로는 기상정보, 주식정보 등이 있는데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쌓이는 대형 서비스 회사에서도 데이터 모니터링용으로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멜론에서도 InfluxDB + Telegraf + Grafana 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한 관련 자료가 있었다. https://www.slideshare.net/yuseungmin/custom-dev-ops-monitoring-system-in-.. 2022. 4. 11. [Linux] 리눅스 입문하기 (커널 / 우분투 / centOS / RHEL) 도커를 공부하며 인스턴스로 리눅스 우분투를 선택했다. 회사에서 팀장님과 네트워크 스터디를 하는 중이라 리눅스 명령어는 좀 사용해 봤지만 제대로 알진 못해 꼭 날 잡고 공부하고자 했다. 리눅스는 서버에서 많이 사용하는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이다. 우분투는 리눅스의 커널을 기반으로 한 리눅스 배포판이다. 커널은 또 뭐냐.. 운영체제에서 핵심이 되는 프로그램이다. 운영체제를 제어하는데에 이 커널이 사용된다. 그래서 리눅스는 오픈 소스 운영체제로 다양한 배포판이 존재한다. Top Linux Distros to Consider in 2021 - GeeksforGeeks Top Linux Distros to Consider in 2021 - GeeksforGeeks A Computer Science portal f.. 2022. 2. 1.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