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엉터리 데이터로 실패하는 AI
코로나가 드러낸 인공지능 한계…'쓸만한 데이터'가 없다 [임주형의 테크토크] : 네이버 뉴스 (naver.com)
코로나가 드러낸 인공지능 한계…'쓸만한 데이터'가 없다 [임주형의 테크토크]
주식 투자부터 물류 배송까지, 오늘날 인공지능(AI) 없는 세상은 상상조차 할 수 없습니다. AI는 막대한 데이터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큰 주식 종목을 추천하거나, 택배 수요
news.naver.com
💭 좋은 AI의 공식은 좋은데이터 + 좋은 설계
2. AI를 대하는 기업에게 필요한 자세
[트랜D] 사람보다 손 많이 가는 AI?…대체 'AI다운 게' 뭐길래 : 네이버 뉴스 (naver.com)
[트랜D] 사람보다 손 많이 가는 AI?…대체 'AI다운 게' 뭐길래
AI가 왜 이래? 인공지능(AI) 기술을 조직에 도입하라는 말은 수 없이 듣는다. 시장 분석을 위해 블로그 댓글을 긁어 모아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배열해 본다. 감정 분석 사전도 동원해 긍정/부정
news.naver.com
“그 전에는 기술 솔루션 자체에 환호하는 경향이 많았다면, 지금은 그 기술을 활용해 비즈니스모델을 어떻게 가져가는지가 더 중요해졌다”
✅ 더 이상 새로운 기술을 썼다고만해서 눈길을 끄는 게 아니다. 기술과 서비스를 결합해 매출을 올릴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 데이터 중심 접근방식
어떤 데이터를 선별해서 어떠한 전략을 가지고 분석을 할 것인지, 해당 데이터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골라낼 수 있는 안목은 어느정도인지, 이를 조직 운용 체계에 얼마나 잘 녹여낼 수 있는지가 AI에 최적화된 조직인 것이다.
3. 정보교육의 필요성
[기고] '2022 개정 교육과정' 과 정보교육 방향 : 네이버 뉴스 (naver.com)
[기고] '2022 개정 교육과정' 과 정보교육 방향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앞두고 초등학교 3학년 5학년 두 자녀를 둔 학부모 걱정이 떠오른다. “애들이 학교에서 컴퓨터를 배우려면 창의적 재량활동에 들어가야만 배울 수 있어요. 배우려는 아이
news.naver.com
✅ 공교육은 모든 학생이 공평하게 교육의 기회를 갖는것
> 학교에서 정보교육을 받기 위해선 따로 신청해서 들어야 하는 경우가 많고, 신청하지 못하는 경우 아예 못듣거나 학원에 간다고 함
교육은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짧게는 10년, 길게는 20~30년의 미래를 생각해서 설계하고 계획해야 한다.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준비해 제대로 된 교육을 해야 한다.
댓글